본문 바로가기
그외/사회탐구

나딩스의 배려 윤리와 밀, 벤담의 공리주의

by 부이쌤91 2020. 6. 11.
반응형

안녕하세요 학습코치 부이쌤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나딩스의 배려 윤리와 밀, 벤담의 공리주의라는 주제로 고등학교 사회탐구 영역 윤리와 생활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주제는 2020학년도 사회탐구영역 생활과 윤리의 2번 문항을 가지고 재구성하였습니다.

 

■제시문

2번 문항은 갑 사상가가 을 사상가에게 제기할 반론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이라고 출제되었습니다. 제시문에 나타난 갑과 을의 사상가가 누구인지 파악하고 옳은 내용을 고르는 것인데, 갑 사상가가 을 사상가에게 제기할 반론이므로, 을의 사상가가 주장한 사상에 대해 고르면 되겠습니다.

 

 

<제시문>

갑 : 인간에 대한 배려는 윤리적 행위의 결과물이기도 하지만 오히려 그 토대이다. 배려했던 기억과 배려받았던 기억이 윤리적 행위의 초석이다.

 

을 : 인류는 고통과 쾌락의 두 주권자의 지배하에 있다. 마땅히 해야만 하는 것으로 인도하며 의무를 결정짓는 것은 오로지 고통과 쾌락뿐이다.

 

<제시문 해설>

갑은 배려는 윤리적 행위이고, 초석임을 통해 나딩스의 배려 윤리, 을은 인류의 의무가 고통과 쾌락뿐이라고 하는 것으로, 벤담의 공리주의임을 알 수 있습니다. 나딩스의 입장에서 볼 때, 공리주의는 최대 행복의 원리를 맥락에 대한 고려 없이 획일적으로 적용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고 봅니다.

 

지금부터는 나딩스의 배려 윤리,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배려 윤리

1.나딩스

나딩스는 배려의 의미를 다양하게 정의하였는데요. 첫째, 몰두입니다. 몰두는 배려자가 피배려자에 대해 개방되고 비섵낵적으로 수용하는 수용성, 배려자가 패려자가 피배려자가 전하고자 하는 것을 진심으로 보고, 듣고, 느끼려는 의식의 상태이며, 내 안에 다른 사람을 들여보내는 것, 배려 받는 사람을 배려하는 사랑속으로 받아들이는 것이라 정의내렸습니다.

 

 

둘째, 동기적 전치는 피배려자를 도와주려는 배려자의 열망으로 동기전 전치는 몰두와 연결됩니다.

 

셋째, 피배려자의 의식 상태는 세가지로 나뉩니다. 감수는 배려를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수용하는 것이며, 정은 배려에 대한 인정과 배려를 받았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며, 반응은 배려가 자신에게 수용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2.길리건

길리건은 도덕의 영역에는 정의와 권리의 도덕 외에 따뜻한 배려와 책임의 도덕이 고려 혹은 보완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총 5 단계의 수준을 제시하였습니다. 제1 수준은 자기 생존과 이기성으로 자신이 원하는 것이 선이고 도덕이며, 제1 과도기는 이기심에서 책임감으로의 이행을 말하며, 이기심과 책임이 처음으로 대립하기 시작하며, 원하는 것이 항상 올바른 것으로 인도하는 것은 아니며, 때로는 필수적인 것이 우선시 되어야 함을 말합니다.

 

제2 수준은 책임과 자기 희생을 말합니다. 인습적 의미의 선함과 타인에 대한 책임을 동일시하며, 사회적 기대와 요구에 동조하고 다른 사람을 기쁘게 하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등 자신의 가치를 배제합니다. 제2 과도기는 동조에서 새로운 내적 판단으로의 이행입니다. 배려와 책임의 개념이 자기 자신의 필요와 욕구 및 이해관계까지 포괄하는 수준으로 확대하는 것을 말합니다.

 

제3 수준은 비폭력적 배려와 책임입니다. 보편적인 의무와 도덕원리로의 배려를 추구합니다.

 

■공리주의

1.공리주의

공리주의는 인간은 누구나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피하려는 존재이며, 쾌락이 선이고 고통은 악이며, 행복이 삶의 목적임을 주장합니다. 또, 공리의 원리 또는 최대 행복의 원리가 옳은 행위를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고 주장합니다.

 

2.벤담

벤담의 공리주의는 쾌락을 산출하고 고통을 피하는 결과를 낳는 행위가 선이라고 보며,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도덕과 입법의 원리로 제시합니다. 모든 쾌락은 질적으로 같으며 양적인 차이만 있다고 가정하고 쾌락을 계산할 수 있다고 봅니다. 벤담의 쾌락 계산 기준으로는 강도, 지속성, 확실성, 근엄성, 다산성, 순수성, 범위 등이 있습니다. 즉 벤담은 양적 공리주의를 주장합니다.

 

 

3.밀

밀의 공리주의는 쾌락의 양뿐만 아니라 질적인 차이까지도 고려해야 한다고 보는데요. 정상적인 인간이라면 누구나 질적으로 높고 고상한 쾌락을 추구할 것이라고 보는데요. 즉 밀은 질적 공리주의를 주장합니다.

 

■차시 예고

지금까지 나딩스, 길리건의 배려 윤리와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공자와 장자의 죽음에 대한 입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