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학습코치 부이쌤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문학의 시의 표현, 시의 형식 이라는 주제로 고등학교 국어영역 문학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시의 표현, 형식 등의 맥락과 생소하거나 참고해야 할 단어들에 대해 간단하게 짚도록 하겠습니다.
■시의 표현
문학의 시의 표현 또는 시적 표현은 시의 주제나 화자의 정서를 형상화하는 데 기여하는 일체의 표현을 말합니다. 비유, 상징, 역설, 반어, 대구, 설의, 영탄, 도치, 열거, 점층 등의 다양한 표현 기업이 있고, 일상적인 언어생활에서도 쓰이나 일상적 언어에 비해 좀더 정체되어 있습니다.
앞에서 말한 시의 표현 방법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첫째, 비유는 표현하려는 대상을 다른 대상에 빗대어 나타내는 표현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해 특별한 의미나 효과를 얻기 위해 일반적인 연상에서부터 벗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비유를 통해 강한 지적, 정서적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마치, ~처럼 등의 연결어인 직유법, ~는 ~와 같다 라는 형식의 은유법, 사람이 아닌 것을 사람으로 표현하는 의인법, 생명이 없는 것을 있는 것처럼 표현하는 활유법, 원관념을 드러내지 않고 보조관념으로 뜻을 암시하는 풍유법 등이 있습니다.
둘째, 상징은 추상적인 개념이나 사물을 구체적으로 사물로 나타내는 것인데, 상징법은 어떤 사물이나 특징을 직접 드러내지 않고 다른 사물에 비유하여 표현합니다.
셋째, 역설은 어떤 주의나 주장하는 반대되는 이론이나 말을 뜻하며, 역설법은 논리적 이치에 맞지 않는 것을 일부러 표현하여 반대적 진리를 표현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이것은 소리 없는 아우성이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넷째, 반어는 표현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실제와 반대되는 뜻의 말을 하는 것으로, 반어법은 본래의 뜻과는 반대되는 말을 하여 문장의 의미를 강화하는 기법입니다. 예를 들어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다섯 째, 대구는 비슷한 어조나 어세를 가진 어구를 짝 지어 표현의 효과를 나타내는 수사법으로, 대구법은 수사법상 단조로움을 없애고 문장의 변화를 주는 방법으로 대우법, 대치법, 균형법이라고도 합니다. 예를 들어 시이저 것은 시이저에게, 신의 것은 신에게로 들려주라 라는 표현이 있습니다.
여섯 째, 영탄은 같은 말로 마음속 깊이 느끼어 탄복하다는 감탄이 있습니다. 영탄법은 슬픔이나 기쁨, 감동 등의 벅찬 감정을 강조하여 표현하는 법으로 고조된 감정을 그대로 드러내어 감탄의 형태로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아, 오, 아아, 오호라, 아라, 어라, 구나 등의 표현이 있습니다.
일곱 째, 열거는 여러 가지 예시와 사실을 낱낱이 늘여놓는 것을 말합니다. 열거법은 서로 비슷하거나 같은 계열의 구절이나 내용을 늘어 놓음으로써 서술하려는 내용을 강조하는 수사법으로, 부분적으로는 각각 다른 자격과 표현 가치를 가진 어휘로써 전체 내용을 강조하는 수사법입니다.
여덟 째, 점층은 글에서 점진적으로 어구를 걸쳐 가면서 문장의 포괄적인 내용과 뜻을 넓혀 중심 주제로 이끌어 가는 것을 말하는데, 점층법은 말하고자 하는 내용의 비중이나 강도를 점차 높이거나 넓혀 그 뜻을 강조하는 표현 기법으로 작고 약하고 좁은 것에서 크고 강하고 넓은 것으로 표현을 확대해가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신록은 먼저 나의 눈을 씻고, 나의 머리를 씻고, 나의 가슴을 씻고, 다음에 나의 마음의 모든 구석구석을 하나하나 씻어낸다 등의 표현이 있습니다.
■시의 형식
문학의 시의 형식은 율격, 시행, 연 등의 요소가 시의 주제나 화자의 정서를 표현하면서 이루는 전체적인 형태나 구조를 말합니다. 시의 형식은 문화적으로 형성된 시 고유의 체계와 관습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크게 고정된 형식과 자유로운 형식으로 구별됩니다.
첫째, 갈래에는 민요, 향가, 시조, 가사, 자유시 등이 있습니다. 갈래는 문학을 내용과 형식의 일정한 기준에 따라 묶는 것을 말합니다. 갈래에 포함된 민요는 사람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오는 생활 노래 전래 동요를 말하며, 향가는 향찰로 표기된 우리나라 고유의 정형시를 말하며, 시조는 고려 말기부터 발달한 한국 고유의 정형시를 말합니다. 또, 가사는 한국 시가의 한 양식을 말하며, 자유시는 자유로운 표현으로 각자의 감정을 표현한 시를 말합니다.
둘째, 담화 양식에는 독백, 대화, 편지, 연설, 전화 통화의 형식 등이 있습니다. 담화란 서로 이야기를 주고받는 것을 말합니다. 담화 양식으로는 자신의 주관, 심경, 의경 등을 혼자 말하는 독백, 서로 주고 받는 대화, 안부와 소식을 적어 보내는 편지, 여러 사람 앞에서 자기 주장이나 의견을 이야기하는 연설이 있습니다.
셋째, 문학적 기법에는 아이러니, 알레고리 등이 있습니다. 문학적 기법은 문학에 사용된 방법을 말합니다. 아이러니는 표현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실제와 반대되는 뜻의 말을 하는 것이며, 알레고리는 무언가 다른 것을 말하기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넷째, 구조에는 수미상관, 선경후정, 대칭 등이 있습니다. 수미상관이란 첫 번째 연이나 행을 마지막 연이나 행에 다시 반복하는 것으로 시의 구조를 안정되게 만들고 운율을 형성하고 의미를 강조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선경후정은 한시의 전형적인 창작 기법을 가리키는 말로, 시상을 전개할 때에 먼저 자연이나 사물을 그대로 묘사하고 난 후 시인의 감정이나 생각을 읊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칭은 연이나 행이 같은 형식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다섯 째, 진술 형태에는 정형시, 자유시, 산문시, 극시 등이 있습니다. 진술이란 일이나 상황에 대하여 자세하게 이야기를 하는 것을 말합니다. 정형시는 일정한 형식과 규칙에 맞추어 지는 시를 말하며, 산문시는 일정한 운율을 갖지 않고 자유로운 형식으로 내재율의 조화만 맞게 쓰는 산문 형식을 서정시를 말하며, 극시는 희곡 형식으로 쓰여진 시를 말합니다.
여섯 째, 외형에는 시행 및 연의 배열 등이 있습니다. 외형은 시의 모양을 나타냅니다.
일곱 째, 화자와 청자의 관계는 독백과 대화 등이 있습니다. 화자는 시에서 말하는 주체로 시에서 말하는 이는 보통 시인 자신을 말합니다. 청자는 화자의 이야기를 듣는 사람을 말합니다.
여덟 째, 시상 전개에는 근정~원정, 외부 풍경~내면세계, 과거~현재~미래 등이 있습니다. 시상은 시를 짓기 위한 착상이나 구상, 시에 나타난 사상이나 감정 등을 말하는데, 가까운 곳에서 먼 곳으로, 밖으로 부터 안으로, 과거는 이랬고, 지금은 이러고, 미래에는 이럴 것이다의 형식으로 전개됩니다.
■차시 예고
지금까지 문학의 시의 표현과 시의 형식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문학의 시의 표현에는 비유, 상징, 역설, 반어, 대구, 설의, 영탄, 도치, 열거, 점층 등의 표현 기법이 있었다는 것, 시의 형식에는 갈래, 담화, 기법, 구조, 진술, 외형, 화자와 청자와의 관계, 시상 전개 등이 있었다는 것을 정리하면 되겠습니다.
조만간 문학 작품 하나하나씩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시간에도 알찬 학습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학습코치 부이쌤이었습니다.
구독과 하트, 댓글은 싸랑입니다.^^
'그외 > 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학년도 수능에 나올만 한 문학 작품들(feat.수능특강) (3) | 2024.03.12 |
---|---|
서술상의 특성을 구현하는 요소인 시점, 제시, 문체 (8) | 2020.06.16 |
시적 화자의 정서, 소재, 어조와 태도 (9) | 2020.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