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학년도 교과/한국지리

우리나라의 위치(수리적 위치, 지리적 위치, 관계적 위치)

by 부이쌤91 2020. 12. 22.
반응형

안녕하세요.

학습코치 부이쌤입니다.

 

우리나라의 위치

 

이번 시간에는 고등학교 한국지리의

우리나라의 위치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위치를 표현한 수리적 위치, 지리적 위치,

관계적 위치에 대해 간단히 알아본 뒤에

 

우리에게 유독 생소한 지리 용어를 정리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나라의 위치

위치라는 것부터 알아야 하는데요.

 

위치란 일정한 곳에 자리를 차지하거나 자리를 차지하는

일정한 장소를 말합니다.

 

이러한 위치는 국가의 기후, 지형 등의 자연 환경과

역사, 문화, 경제, 국제 관계 등의 인문 환경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인데요.

 

위치를 통해 해당 국가의 과거와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를 예측 할 수 있습니다.

 

위치의 종류로는 절대적으로 수치가 정해져 있는

수리적 위치와 지리적 위치가 있으며,

 

상대적인 위치로는 관계적 위치가 있습니다.

 

수리적 위치

수리적 위치

수리적 위치는 위도와 경도로 표현되는 위치를 말합니다.

 

위도는 지구 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축 중에서 가로도 된

것을 말하는데, 한 지점의 위도는 그 지점을 지나는 자오선상의

적도와의 교점과 그 점이 이루어진 각도를 말합니다. 이때, 자오선

남극과 북극을 지나는 남북 방향의 상상의 선으로 정의상 모든

자오선은 적도 및 모든 위도와 수직으로 교차됩니다.

 

이러한 위도는 기후와 식생 분포, 계절 등에 영향을 주는데,

우리나라는 북위 33º~43º인 북반구 중위도에 위치하고 있어서

사계절의 변화가 뚜렷하고, 냉, 온대 기후가 나타납니다.

 

이때, 냉대 기후는 최한월 평균기온이 -3℃ 이하, 최난월 평균기온은

10℃ 이상인 말 그대로 추운 편인 기후를 말하며, 온대 기후는 최한월의

평균 기온이 -3℃ 이상 18℃이하인 다른 기후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화한

기후를 말합니다.

 

경도는 지구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의 하나로 기준선인 본초자오선으로

부터 동서로 얼마나떨어져 있는가에 대한 정도를 말합니다. 이러한 경도는

한 국가나 지역의 표준시 결정에 영향을 줍니다. 이때, 표준시로 인해 국가별로

시간이 다르게 표시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동경 124º~132º에 위치하고, 표준경선은 동경135º를 사용합니다.

그래서 본초 자오선이 지나는 영국의 표준시보다 9시간이 빠릅니다.

 

지리적 위치

지리적 위치

지리적 위치는 대륙, 해양, 반도, 산천 등의 지형지물을 기준으로 표현되는

위치를 말하는데요. 

 

우리나라는 유라시아 대륙 동안에 위치하고 있어서 대륙성 기후와 계절풍

기후가 나타나게 되어 기온의 연교차가 크며, 여름은 고온 다습하고 겨울은

한랭 건조하고,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 국가라 대륙과 해양 양방향으로의

진출과 교류에 유리합니다.

 

이때, 대륙성 기후는 대륙, 즉 육지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기후인데요. 일반적으로는

대륙의 내부 등 바다와 멀리 떨어져 대기 중 수증기의 양이 적은 특징을 갖는 기후를

말하지만, 반드시 대륙의 내부에서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고 지형이나 수륙분포 등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계절풍 기후는 여름과 겨울 사이에 풍향이 반대로 바뀌는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기후로서, 건기와 우기가 뚜렷한 특징을 갖으며, 벼농사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관계적 위치

관계적 위치는 주변 국가와의 정치, 경제, 문화적 이해관계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를 말하는데요. 근대에는 대륙 세력과 해양 세력 등의 열강에 의한

각축장이 되었으며,

 

냉전 시대에는 자본주의 진영과 공산주의 진영이 대립하는 공간이었고,

오늘날에 이르러 동북아시아의 중심 국가가 되었습니다.

 

오늘날에 국제 연합(UN),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아시아 태평양 경제

협력체(APEC), G20 정상 회담 등 각종 국제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반응형